Skip to content

Week3. Day1 ‐ 23.11.21 팀회고

dongind edited this page Nov 21, 2023 · 1 revision

KPT 기준 작성하기

  • Keep : 계속 하면 좋은 점
  • Problem : 문제점
  • Try : 문제 개선을 위해 다음에 해볼 만한 일

서정

  • keep
    • 우리 프로젝트와 관련 있는 컨퍼런스 주제들
  • problem
    • 스토리의 단위를 너무 크게 잡은 부분들이 있는 것 같다. 큰 단위의 스토리를 진행하다보니 팀원들의 구체적인 진행 상황을 한눈에 보기 어렵다.
    • 태스크 포인트가 잘 산정되었는지 판단할 기준이 없어서 피드백을 하기 어렵다.
  • try
    • 스토리를 세분화하여 추가 작성해서 스프린트에 반영하고, 피드백에 따라 생기는 추가 변경 사항들도 기존 스토리에 추가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스토리를 만드는 방향으로 변경
    • 태스크 완료 후 실제 작업 시간을 기록

영우

  • keep
    • 컨퍼런스가 좋았다. 오늘 다들 준비를 많이 해오고, 공감이 가는 주제라서 더 흥미롭게 들을 수 있었다.
  • problem
    • 업무에 대한 스크럼, 회고가 미흡했던 것 같다. 학습이나 소통과 같은 부분은 잘 다루어지고, 금방금방 문제상황이 해결되는데, 업무에 대해서는 별로 다루어지지 않는다.
    • 오늘 한 장소에서 일정이 너무 길었다. 다들 피곤하고 지치는것 같다.
  • try
    • 업무에 대한 관심을 높여보자 ! 스크럼에서 업무진행도가 어느정도인지 파악하고 이를 관리하려는 노력을 해보자.
    • 일정이 긴 것은 어쩔수없어도, 최소한 환경은 옮기면서 진행해보자

용현

  • keep

  • problem
    • 개인의 업무 역량(진행시간)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이 없음
      • 이전 try에서 story point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자고 결정한 바가 있음
      • 하지만 각자 Task가 끝나고 이를 기록해두지 않으면, 회고를 위한 자료를 얻을 수가 없다.
  • try
    • 개인 업무 역량을 기록하기 위한 항목을 Jira 내에 추가
      • Jira의 sub-task 설정을 변경하여 실제 업무 시간을 기록하기 위한 항목을 만들어 두는 방식을 추가

승민

  • keep

  • problem
    • 태스크 포인트, 인수 조건 설정을 제대로 하지 못함
  • try
    • 2주차 경험을 바탕으로 태스크 포인트와 인수 조건을 설정해본다.

수린

  • keep
    • 중간에 나온 의견들을 최대한 기록해두려고 했다.
  • problem
    • 인수 조건을 작성하는 것에 대한 규격이 잡혀있지 않아 작성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.
    • 중간 중간 서로 다른 얘기를 할 때가 있었다.
      • 예: 6주 동안의 목표 기능을 정하는 것인지, 이번 주 동안 할 목표 기능을 정하는 것인지에 대해 얘기할 때
  • try
    • 인수 조건 작성에 대한 예시를 만들어 둔다.
    • 지금 토론하려고 하는 내용이 어떤 것에 대한 내용인지 처음부터 기록을 하고 이야기한다.

🎯팀 규칙

💻프로젝트

📃문서

☀데일리 스크럼

1주차
2주차
3주차
4주차
5주차
6주차

🗨️회의록

  • 회의록
  • 📚팀 회고

    1주차
    2주차
    3주차
    4주차

    ✍️개인 회고

    1주차
    2주차
    3주차

    🧑‍🏫기술 공유

    Clone this wiki locally